http://farmer.rda.go.kr/main/community/cst_board_View.asp?board_id=328&category_id=5&exeMode=E&gubun=&strTableName=TBL_BOARD&Mcode=F00003001&GNB=gm5&LNB=lm3&SNB=sm1

 

우리나라 농어업인에서 악성종양 발생과 사망 양상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산업의학과 임형준


I. 서론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2008년 6월 현재 우리나라에서 농업ㆍ임업ㆍ어업에 종사하는 취업자의 수는 189만 명(전체 취업자 2,390만명의 7.9%), 농어가인구는 327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건설업과 운수업에 종사하는 취업자 수가 각각 187만 명, 121만 명으로 추정되었음을 감안한다면, 농어업은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큰 주요산업 중의 하나이다(통계청, 2008).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농어업의 유해요인으로 인한 농어업인들의 건강영향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농어업인의 악성종양 관련 연구는 악성종양 비례사망연구(proportional mortality study),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등을 통하여, 주기적, 지속적으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Flemming 등, 1997; Bouchardy 등, 2002). 미국과 유럽에서 농업인에서의 전체 악성종양 사망률은 전체인구와 비교하여 낮으나, 악성흑색종, 비흑색종 피부암, 비호지킨 림프종, 백혈병, 위암, 전립선암 등과 같은 특정 악성종양의 사망률은 전체인구와 비교하여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lair 등, 1995).

  우리나라에서 농어업의 건강영향과 관련된 연구로는 농약중독, 농부증, 호흡기 질환, 근골격계 질환, 그리고 손상과 관련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악성종양과 관련된 연구로는 일부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악성종양의 발생률 또는 사망률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김정순 등, 1977; 오희철 등, 1991; 김소윤 등, 1999; 채창호 등, 1999; 박재범 등, 2000; 설재웅 등, 2002; 송재석 등, 2003;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배정민 등, 2005; 이중정 등, 2006; 권순찬 등 2008). 또한 과거 농업인 또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한 국내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선정할 때 농촌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건세 등, 1999; 이건세 등, 2000; 한충헌 등, 2001)가 많아 실제 농어업에 종사하지 않는 농촌지역 거주자들이 포함되는 제한점이 있다.  일부지역에 국한되지 않는 전국적인 수준에서 실제 농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악성종양의 발생과 사망 양상을 파악하는 자료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국민 또는 비농어업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농어업인에서  전체 악성종양의 발생 또는 사망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과거 연구에서 농어업인에서 흔한 악성종양으로 보고된 악성흑색종, 비흑색종 피부암, 비호지킨  림프종, 백혈병 등의 림프조혈기계 악성종양, 위암 등의 발생 또는 사망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우리나라 농어업인에서 악성종양과 관련된 연구 및 예방대책의 기초 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